핀란드 부모혁명(박재원,구해진/비아북)
2014.08.
나의 로망.
핀란드의 이야기.
그곳의 이야기를 잘은 알지 못하지만
북유럽탐방 등을 다녀온 선생님들의 이야기를 건너건너 들으며
'그곳'에 대한 동경이 생기기 시작했다.
내가 꿈꾸는
사람을 세우는, 사람을 살리는 교육이
곳곳에서 이루어지는 나라.
핀란드의 교육을 우리나라까지 끌어오는 것이
나로서는 역부족이겠지만
내가 서 있는 교실에,
그리고 나의 가정에 심을 수는 없을까?
이번 책은 '부모'에 초점이 잡혀있는데 다른 핀란드 '시리즈'도 읽어봐야겠다.
p.44) <북해를 바라보며 그는 울었다, 도종환>
p.66) "아기들이 모든 것을 그렇게 빨리, 많이 배울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는 백지상태로 태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아기들은 처음부터 상당히 많은 것을 알고 있는 채 태어나고 이것은 또다른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마치 과학자들처럼 말이다. 과학자들은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무작정 연구를 시작하지 않는다. 기존 이론에서 출발해 그 이론을 검증하고 실험하고 수정을 거쳐 새로운 이론을 만들어낸다. 즉 이미 알고 있는 것을 바탕으로 배우고 학습하면서 새로운 이론을 도출해내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아기들은 학습능력은 타고난다고 볼 수 있다."
p.77) 자기주도력 키우는 핵심전략 5가지
1. 공부에 대한 느낌이 중요하다
특히 초등 저학년 시절, 공부에 대해 어떤 인상을 받았는지에 따라 정말 많은 것이 달라진다. '유익하다' '즐겁고 재미있다'는 느낌을 받는다면, 스스로 즐겁게 배울 수 있는 씨앗을 뿌린 것과 같다.
2.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자신의 공부와 관련된 의사결정을 스스로 할 수 없다면 자기주도는 불가능하다.
3. 배움의 기회를 소중하게 생각해야 한다
자기에게 주어진 배움의 기회가 가치 있게 느껴지면 당연히 적극적인 태도를 갖게 되지만, 흔해 빠진 기회라고 생각하면 소극적이 되기 때문이다.
4. 매사에 의욕적이어야 한다
공부는 정서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아이가 공부에 대해 의욕을 갖게 하려면, 주위에서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아야 하고 아이 스스로 배움의 즐거움을 경험해야 한다.
5. 건강한 공부습관이 필요하다
습관은 의지와 상관없이 본능처럼 움직이는 것이어서 건강한 습관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자기주도학습에 힘을 발휘하기가 어렵다.
①꾸준하게 공부하는 습관 ②공부를 완성하는 습관 ③미루지 않는 습관
* 대한민국 학부모의 네 가지 믿음: ①사교육 지향성 ②부모 주도성 ③성적 지향성 ④정보 의존성
p.93) "한국 아이들은 잠재력이 뛰어나지만 오답이 두려워 백지를 택했다. 정답을 요구하는 사회 앞에서 성장을 멈춘 것이다."
나름 범생이로 살아와서일까. 이 문장을 읽고 가슴이 뜨끔. 성격 탓도 있겠지만…
p.102) "인간은 보이는 대로 대접하면 결국 그보다 못한 사람을 만들지만, 잠재력대로 대접하면 그보다 큰 사람이 된다." (괴테)
p.105) 부모가 자녀를 믿고 지지하면 아이는 그 기운을 받아서 긍정적으로 성장하고, 부모가 자녀를 믿지 않고 의심한다면 아이는 그 기운을 받아서 부정적인 결과를 만들어낸다.
p.109) "부모는 자녀에게 세 가지를 베풀어야 한다. 바로 시간, 관심, 애정이다." (페스탈로치)
p.158) 청소년 진로지도 사이트(www.work.go.kr/youth)를 참고해도 좋다. 초등학생을 위한 코너도 있는데, '흥미로운 직업세계' 등에서 정보를 얻고 상담도 가능하다. 우리도 직업 체험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기 시작했다. 직업 체험 테마파크도 생겼고, 직업 체험관도 건립 중이다.
아마도 잡월드를 이야기하는 걸까? 복직하면 아이들과 갈 수 있는 방법을 찾아봐야겠다. 그전에 내가 먼저 한 번 가보는 것도 필요하겠지? 답사의 중요성!!!
p.195) 10단계 즐거운 공부 작전
1단계: 긍정적인 의도 설명하기 / 아이를 '존중'하고 새로운 공부를 해보자고 제안하는 것
2단계: 스킬 발견하기 / 아이의 입장에서, 스스로 생각을 정리하면서 발견하기
3단계: 스킬 결정하기
3+@단계: 결정한 스킬은 까먹기 전에 기억으로 만들기
4단계: 좋은 점 찾기 / 새로운 스킬을 연습해서 올 변화를 즐거운 마음으로 함께 상상하고 기록
5단계: 이름 붙이기 / 스킬을 상징하는 이미지와 이름을 붙여 계속 관심 갖도록 하기
6단계: 후원자 모으기 / 지속적인 관심과 응원을 부탁하는 것은 부모의 몫
7단계: 성공축하파티 계획하기 / 자주 보면서 즐거운 기분을 느끼면 아이의 잠재력이 강하게 자극된다
8단계: 실천하기 / 체크리스트 만들어 확인하기
9단계: 성공축하파티 하기
10단계: 다른 친구에게 스킬 가르쳐주기
p.216) <만일 내가 아이를 다시 키운다면, 다이애나 루먼스>
p.228) 아이는 여린 새싹과 같은 존재다. 바람에도 잘 흔들리고 거센 빗줄기에도 기가 팍 죽는다. 환경에 맞설 힘이 약하기 때문이다. 그처럼 여린 존재를 보호하고 보살펴서 잘 성장하도록 도와야 할 부모가 오히려 모진 바람이 되어 아이를 뒤흔든다면 아이는 무엇에 의지해서 뿌리 내리고 줄기를 키워갈 것인가.
최근댓글